은값은 왜 $200~2,000까지 언급되는가?

1980년 은값이 $50을 돌파했던 시절과 비교해보면, 현재의 $38은 물가와 자산 가격 상승을 반영하지 못한 터무니없이 낮은 수준입니다. CPI, 통화량, 주택·주식 시장 등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은의 이론적 가치는 $200에서 $2,000 이상까지도 도출됩니다. 지금 은은 단기 고점이 아니라, 통화 팽창 시대 속에서 실물 자산으로 재평가받기 직전의 출발선에 서 있는 셈입니다.

원화로 얼마? [친절히 계산 해 드림]

💰 1온스당 $200~$2,000 → 1돈(3.75g) 기준 환산 (환율: 1,400원/USD)

1온스 가격 (USD)1돈 가격 (USD)1돈 가격 (KRW)1kg 가격 (KRW)
$200$24.1133,758원9,002,202원
$500$60.2884,396원22,505,506원
$1,000$120.57168,791원45,011,012원
$2,000$241.13337,583원90,022,023원

✅ 계산 방식:

  • 1온스 = 31.1035g
  • 1돈 = 3.75g
  • 환율 = 1,400원/USD

예:
$200 ÷ 31.1035 × 3.75 × 1,400원 ≈ 33,754원

위 가격은 수공비, 실물 은 프리미엄, 유통 수수료(약 3~5%) 등을 제외한, 이론적인 순수 시세 기준입니다.

1980년 $50, 그게 버블이었을까?

1980년 1월, 은은 역사상 가장 높은 $50.00 (시카고 거래소 기준)을 기록했습니다. 당시 헌트 형제의 매집과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가 겹쳐 발생한 이 가격은 한동안 ‘버블의 상징’처럼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그로부터 46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전혀 다른 시대의 돈의 가치 속에 살고 있습니다. 그때보다 통화량은 10배 이상, 자산가격은 수십 배 상승했으며, 중앙은행의 정책은 훨씬 더 공격적으로 변했습니다.

그렇다면 질문은 이겁니다.
“지금 은이 $38이라는 게 과연 비싼가?”
과거의 $50과 단순 비교해선 안 됩니다.
화폐의 구매력 기준으로 다시 환산해야 합니다.

물가 기준으로 본다면, 현재의 $38는 ‘반의 반값도 안 된다’

1980년 이후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약 4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단순히 그 물가 상승률만 반영해도,
$50 x 4 = $200
→ 즉, 단지 ‘물가 기준’으로만 봐도 은은 $200까지 가야 본전이라는 계산입니다.

따라서 현재 은값 $38은, 1980년의 실질 은값에 비하면 20% 수준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M2 통화량 기준으로 본다면?

미국의 M2(현금 + 예금 등 광의 통화)는
1980년 약 1.5조 달러에서
2022년 기준 약 21조 달러까지 증가했습니다.
무려 14배 이상 증가한 셈이죠.

이를 반영해 당시 $50이었던 은값을 다시 계산하면,
$50 x 14 = $700 이상
→ 실제로 자료에서는 $781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즉, 단순히 M2 증가율만 반영해도 은은 지금보다 20배 이상 비싸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됩니다.

자산 시장 기준으로 보면 훨씬 더 과격하다

가장 극적인 수치는 미국 전체 주식 시장의 시가총액 변화를 반영한 종합 지수에서 나옵니다.
이는 미국 전체 주식시장의 총 시가총액을 반영하는 지표로,
• 1980년 이후 40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 상승률을 은 가격에 적용하면?
$50 x 40 = $2,000 이상
→ 실제 계산치는 $2,178입니다.

물론 이것은 은이 주식시장처럼 평가되어야 한다는 극단적 가정이지만, 실물 자산이 금융 자산 대비 얼마나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평균적으로 보면?

위와 같은 계산을 여러 자산군에 적용해 평균을 내면,
은의 적정가는 $921로 도출됩니다.
이는 단지 하나의 ‘예측’이 아니라,
화폐 가치의 희석 속에서 실물자산이 어떻게 재평가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입니다

[실버 시장 공급 부족 현황 (2021~2025)]

연도공급 부족량 (단위: 백만 oz)비고
2021-79실물 수요 초과 발생
2022-250대규모 적자 시작
2023-200적자 지속
2024-150감소했지만 여전히 부족
2025-117 (예상)ETF 제외 기준

투자자에게 제안하는 전략

  • 단기 목표: $48~50 수준까지는 기술적 조정과 상승 반복 가능
  • 중기 전략: 은값이 $50을 돌파하면, 다음 목표는 $70~$100까지도 가능
  • 장기 전략: 은을 장기 보유하고 금은비가 40~50 이하로 수렴할 때 금으로 스위칭하여 자산의 가치를 극대화

결론: 지금 은값 $38은 바닥일까, 꼭짓점일까?

지금 은이 단기적으로 고점을 찍은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 시계로 보면,

  • 화폐의 구매력 하락
  • 통화량 폭증
  • 자산시장의 전반적 인플레이션

이 모든 요소가 은의 재평가를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1980년대에는 전기차도, 태양광 산업도, 스마트폰도, 노트북도 없었다는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은 당시 $50 고점을 찍었습니다.

지금은 은이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첨단 산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대입니다.
그런데 200달러를 넘지 못할 이유가 있을까요?
과연 그럴 만한 이유가 단 하나라도 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해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