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현물(XAU/USD) 차트를 볼 때, 단순한 가격 흐름 외에도 ‘시장 심리’나 ‘추세의 힘’을 판단할 수 있는 보조지표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RSI와 MACD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 지표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실제 차트에서 어떻게 설정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RSI (상대강도지수)란?
1. RSI 보는 법

RSI는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 ‘매수/매도 강도’를 측정해주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과열 구간’인지, ‘저점 매수 구간’인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 0~100 사이의 수치로 표시되며,
-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면 과매수,
- 30 이하이면 과매도 구간으로 판단합니다.
👉 예를 들어 금값이 계속 오르다가 RSI가 80 이상으로 치솟았다면?
→ 단기적으로 조정(하락)이 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금값이 오름장일때는 조급한 마음이 들어 지금 사지 않으면 금값이 곧 오를 것 같은 마음이 들때가 있습니다.
그럴때 RSI 지표는 지금 금이 과열, 즉 너무 고점에 내가 사는 것은 아닌지 판단 할수가 있습니다. 반대로, 금이 현재 저점인지 판단하여 금 투자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RSI 보조지표만 확인해도 고점에 물리지 않습니다.

2025년 2월, 금값 상승 소식이 연일 뉴스에 보도되자 너도나도 금 투자에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심지어 옆집 어머님들까지도 적금을 해약해가며 골드바를 구매하는 모습이 흔하게 보였습니다.
당시 국내 금 시세에는 20%가 넘는 ‘김치 프리미엄’이 붙었지만, 많은 이들이 별다른 판단 없이 감정적으로 금을 매수했습니다.
하지만 이때 단 하나의 간단한 RSI 보조지표만 확인했더라도, 과열된 시장 흐름을 인식하고 좀 더 냉정한 판단을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2. RSI 설정하는 법

- 상단 메뉴에서 [지표] 클릭
→ 화면 위쪽의 그래프 모양 아이콘을 누릅니다. - 검색창에 ‘RSI’ 입력
→ 나타나는 창에서RSI
라고 입력하세요. - ‘상대강도지수 (RSI)’ 선택
→ 리스트에서 “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를 클릭하면 차트 아래에 RSI가 나타납니다.
🔄 MACD란?
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약자로,
이동평균선 간의 거리 차이와 수렴/확산을 시각화한 지표입니다.
한글로 “무빙 애버리지 컨버전스 다이버전스”라고 읽습니다.
보조지표 설정시 한글 번역으로 자동 설정시 한글명칭으로 나타납니다.

이 지표는 ‘추세의 전환점’을 포착하는 데에 탁월한 역할을 합니다.
- MACD선(빠른선), Signal선(느린선), Histogram(막대그래프)로 구성
- 기본값(12, 26, 9)으로 시작
- MACD선이 Signal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시그널
-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 MACD 보조지표 활용 예시

위 차트에서 보듯, MACD선(파란 선)이 Signal선(빨간 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하면 매수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이른바 “골든크로스” 구간으로, 보통 상승 추세의 초입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데드크로스(상단에서 하락 돌파)는 매도 또는 주의 구간입니다.
🔍 초보자일수록 “돌파 시점”을 기다려야 하는 이유
추세 전환을 확인한 뒤 진입
→ MACD선이 Signal선을 상향 돌파할 때가 진짜 매수 시그널
→ 이때부터 히스토그램도 빨간색 → 초록색 전환으로 바뀜
거짓 반등(데드캣 바운스) 방지
→ 히스토그램이 줄어든다고 무조건 반등은 아님
→ 돌파 전에는 “속임수 상승” 가능성 있음
심리적 안정
→ 돌파 이후 진입하면 손절 기준도 명확
→ “이탈 시 정리” 같은 전략이 쉬움
✅ MACD 설정 방법 (트레이딩뷰 기준)

① 상단 메뉴에서 [지표] 클릭
→ 그래프 아이콘입니다.
② 검색창에 “MACD” 입력
→ 영어로 입력해도 됩니다.
③ “무빙 애버리지 컨버전스 다이버전스” 클릭
→ 이것이 기본 MACD 보조지표입니다.
→ 클릭하면 차트 하단에 MACD 선 + Signal 선 + 히스토그램이 표시됩니다.
🔄 RSI와 MACD를 함께 보면 좋은 이유
이 두 지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시장의 힘을 보여주기 때문에 같이 사용하는 것이 시너지를 냅니다.
- RSI는 ‘과열’ 여부 판단
- MACD는 ‘추세 전환’ 신호 포착
→ 예: RSI가 과매도(30 이하)이고, MACD가 골든크로스 발생 시 → 매수 강력 신호
🔄 마무리 정리
보조지표 | 주요기능 | 신호 |
---|---|---|
RSI | 시장의 과열/침체 파악 | 70 이상 = 매도, 30 이하 = 매수 |
MACD | 추세 전환 포착 | 골든크로스 = 매수, 데드크로스 = 매도 |
보조지표는 항상 지나고 나면 명확해 보입니다.
하지만 지금 현재 차트는 미래에 어떤 식으로 갈지 알 수 없어 누구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표 하나만 보지 않고, 추세 + 패턴 + 거래량 + 가격 구조를 함께 봐야 합니다.
지표는 도구일 뿐, 결정은 우리가 하는 것이고 그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도구로 보조지표를 보는 것입니다.
보조지표 하나가 확신을 주는 것이 아니고, 여러 보조지표가 같은 방향을 가르키고 있다면 확률이 더욱 더 올라갈 것입니다.
🔄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실전 활용법
상황 | 전략 |
---|---|
MACD 골든크로스 직전 | RSI가 과매도권이라면 진입 고려 |
MACD 돌파 직후 | 1~2봉 관망 후 진입 (확정 후 진입) |
MACD·RSI·장대양봉 패턴 모두 정렬될 때 | 신뢰도 상승 → 주력 진입 구간으로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