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과 은은 삼각수렴 구간에 들어서며 곧 방향성을 결정할 시점에 와 있습니다. 거시경제 악재에도 불구하고 버티는 모습은 강세장의 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조용할 때 미리 준비하시는 것이 현명하며, 돌파 이후보다는 지금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지금이 타이밍
8월 들어 금과 은 모두 큰 변동 없이 지루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실 이런 시기가 바로 투자 타이밍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남들이 외면할 때가 진짜 기회인데, 대부분은 정반대로 행동합니다. 금과 은이 폭등을 해야 비로소 관심을 가지고, 그제야 서둘러 구입 문의를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 가격이 올라버린 뒤에 들어오시는 거죠.
지금이 바로 준비할 시점입니다. 왜 그런지, 아래 금과 은 차트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금 차트: 대형 삼각수렴, 방향성 임박

📊 차트 해석 (금 4시간봉)
1. 대형 삼각수렴 패턴
- 4월 저점 이후 이어진 상승세 속에서 점차 고점은 낮아지고 저점은 높아지는 대형 삼각수렴이 진행 중.
- 현재 가격은 약 3,338천 원 부근에서 압축 구간에 머물고 있으며, 조만간 방향성을 결정할 가능성이 큼.
- 거래량이 줄어드는 모습 역시 전형적인 수렴 막바지의 특징.
2. 저항과 지지
- 주요 저항: 3,400천 원대 (단기 상단 돌파 시 → 3,500천 원 목표 가능).
- 주요 지지: 3,250천 원대 (이탈 시 → 3,150천 원대 추가 조정 가능).
- 핵심 구간은 3,250 ~ 3,400천 원 박스권으로, 돌파 방향에 따라 향후 추세가 크게 달라질 전망.
3. 거래량 (Volume)
- 각 돌파 시도마다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했으나, 최근 구간은 점차 감소.
-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관망하며 “에너지를 모으는 단계”로 해석 가능.
- 돌파 시 거래량이 급증할 경우, 방향성은 더욱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 정리하면,
현재 금 가격은 “상승 추세 속 삼각수렴 막바지”에 위치해 있으며,
상방 돌파 시 강한 랠리로 이어질 수 있고, 하방 이탈 시 단기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즉, 지금은 조용히 에너지를 응축하고 있는 구간으로, 머지않아 큰 방향성을 보여줄 가능성이 큽니다.
은 차트: 세 번째 삼각수렴, 40달러의 벽

📊 은 현물 4시간봉 ― 상승 쐐기(Wedge)
1. 연속된 상승 쐐기 패턴
- 5월 이후 은 가격은 뚜렷한 상승 흐름 속에서 쐐기형 패턴을 반복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 첫 번째 쐐기: 5월 초 저점 이후 고점과 저점이 모두 우상향하는 쐐기형 → 돌파하며 36달러대 안착.
- 두 번째 쐐기: 6월~7월 구간에서도 비슷한 패턴 → 강하게 상방 돌파하며 38달러 진입.
- 세 번째 쐐기(현재): 7월 말~8월 구간에서 다시 쐐기 패턴 형성 중. 현재 40달러 저항선 앞에서 방향성 결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2. 주요 지지·저항 레벨
- 저항: 40달러 (심리적·기술적 핵심 레벨). 돌파 시 42달러~45달러까지 목표가 열릴 수 있음.
- 지지: 37달러 부근 (200일 이동평균선과 겹치며 강력한 방어선). 이탈하지 않는 한 상승 구조는 유효.
3. 거래량 패턴
- 각 쐐기 패턴 막바지마다 거래량이 줄어드는 모습 → 전형적인 에너지 응축 구간.
- 이후 돌파 시 거래량이 터지며 강력한 상승 탄력이 붙는 구조.
- 현재도 거래량 감소 중 → 돌파 시점 임박을 시사.
정리하면,
현재 은 차트는 뚜렷한 연속된 상승 쐐기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그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패턴의 반복성과 거래량 흐름을 고려할 때, 이번에도 상방 돌파 가능성이 높은 국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거시경제 배경: 흔들리지만 버티는 금·은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를 보면 혼조세가 뚜렷합니다. 7월 CPI는 예상보다 낮아 금·은에 호재로 작용했지만, PPI는 0.9% 급등하면서 물가 압력을 다시 키웠습니다. 그런데도 금과 은이 크게 밀리지 않았습니다. 이것만 봐도 현재 금은의 기본 체력이 얼마나 강한지 알 수 있습니다.
9월 FOMC 금리 인하 가능성은 이미 83% 이상 반영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재정 상황은 매우 심각합니다. 7월 재정적자는 2,910억 달러에 달했고, 국채 이자 비용은 분기 기준 1.13조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결국 연준(Fed)은 금리를 내리고 돈을 더 풀 수밖에 없는 구조에 몰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다가 M2 통화량은 2023년 바닥을 찍고 이미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습니다. 만약 위기가 터진다면 2020년과 같은 대규모 유동성 공급이 재현될 수 있고, 그 순간 금과 은은 강하게 반응할 것입니다.
국제 흐름: 중앙은행 매수와 탈달러화
세계 중앙은행들도 금을 쓸어 담고 있습니다. 세계금협회(WGC)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한 중앙은행의 43%가 “향후 1년 내 금 보유를 늘리겠다”고 답했습니다. 달러 자산이 정치적 이유로 언제든 동결될 수 있다는 걸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달러 대신 금을 선택하는 흐름이 구조적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은은 금과 늘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이 역시 은 투자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결론
차트와 지표를 모두 살펴본 뒤 드는 생각은 단순합니다. 금과 은은 지금 폭발 전야의 삼각수렴 구간에 있습니다. 방향성은 머지않아 결정될 것이고, 그 움직임은 강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100 은, $10,000 금” 같은 전망은 단순한 숫자 싸움이 아닙니다. 중요한 건 그 순간 금과 은을 갖고 있느냐, 아니냐입니다. 경제가 불안정할수록 귀금속은 단순한 투자 대상이 아니라, 자산을 지켜주는 방패 같은 존재입니다.
저는 그래서 지금이야말로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남들이 관심을 두지 않는 지금, 진짜 기회가 숨어 있다고 믿습니다.
📌 현물은보다 수익율이 몇배 높은 은광주에 주목할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