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8.18] 금·은 시장, 단기 흔들림 속 큰 추세 유지

국제 금값은 최근 물가 지표 영향으로 3,330달러에서 3,370달러 구간에 머무르며 방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은 가격은 37.5달러에서 38.5달러 구간에서 지지를 확인하며 추가 상승 시도를 준비하는 모습입니다. 다가오는 잭슨홀 회의와 9월 FOMC가 단기 추세 전환의 핵심 재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탐사 KS 반지 치수 규격 준수 링게이지

오늘의 금은시세

2025년 8월 18일 국내 금·은 시세표. 순금 1돈 568,000원(매입 552,000원), 18K 매입가 404,000원, 14K 매입가 313,000원, 은(1kg 실버바) 1,940,000원 / 매입가 1,780,000원.


국내 금 시세

  • 국내 금시장 안정되고 조용한 흐름, 큰 변동폭 없습니다.
  • 국내 금값은 국제 시세 대비 1만원가량 저렴한 편이며 매수 구간입니다.

국내 은 시세

  • 8월 들어 국내 은시세 변동폭 없는 안정된 흐름 , 실물 은은 조용할 때가 매수 타이밍
  • 실물 수요는 꾸준히 유지, 공급 부족 여전, $40달러 이하 구간은 여전히 매수 구간.

금·은은 “ 인플레션수치가 올라가면서 실질금리 하락 + 꾸준한 수요 + 금리 인하 이벤트 대기”라는 3가지 요인 덕분에 예상보다 잘 버티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금시세 등락률]

2025년 7월 29일부터 8월 18일까지의 국내 금 시세와 등락률을 날짜별로 기록한 표. 예: 7월 29일 565,000원, 8월 7일 571,000원(+0.35%), 8월 18일 568,000원(+0.35%).


국제 금시세


 ☑️현재 금 시세 요약

  • 현재가: $3,343/oz
  • 고가/저가: $3,344 / $3,324
  • 50일선(SMA): $3,349 (소폭 하회)
  • 200일선(SMA): $3,041 (여전히 위로 충분한 거리)
  • RSI(14): 48.9 (중립)
  • 거래량: 28.6K (최근 평균 대비 [낮음], 에너지 다소 둔화)


 ☑️기술적 흐름

[단기]
최근 2주간은 3,330~3,380 박스권에서 숨 고르기. 50일선을 살짝 아래로 두고 있어 반등이 나오면 3,360대 재확인이 먼저, 꺾이면 3,330 방어가 핵심 포인트.

[중기]
200일선 위에서 완만한 우상향을 유지. 5월 이후의 고점-저점 구조가 아직 무너지지 않아, 3,300대 초반에서 지지 확인 후 재상승을 시도하는 전형적인 눌림 흐름으로 해석 가능.

[장기]
장기 상승 추세선(200일선)이 안정적으로 올라오고 있어 큰 그림은 변함없음. 변동성 구간이 지나면 고점 갱신 시도(3,450대 재도전)로 이어질 확률이 높음.

☑️전략 포인트

① 3,330 부근 유지 — [핵심 지지선 방어 시 분할 매수 유효] — 박스 하단 방어 확인 후 천천히 비중을 늘리는 접근.
② 3,360~3,380 재진입 — [단기 반등 확인 시 추가 분할] — 50일선 회복/안착이면 3,400 부근까지 탄력 가능, 추격은 소액으로.
③ 3,300 이탈 — [종가 하회 시 신규 대기, 3,285~3,275 지지 확인 후 1차, 3,300 재안착 시 2차] — 3,270 추가 이탈 시 비중 축소·신규 보류.


☑️결론

[장기 투자자는 호흡을 길게 가져가세요.] 오늘 흐름은 “박스권 내 숨 고르기”에 가깝습니다. 가격이 살짝 밀려도 큰 추세는 200일선이 받치고 있어 본질이 바뀌지 않았습니다. 💡 급등을 좇기보다는 지지대 근처에서 천천히, 계획한 비중대로 분할을 지키는 편이 결국 수익과 마음을 함께 지켜줍니다.


[ 금 중장기 전망 ]

금 가격 예측 인포그래픽: 1년 후 강세 $3,550 (요인: 미국 달러, 주식 약세장, 경기 침체, 투자자 심리). 3년 후 강세 $5,500 (요인: 미국 달러, 무역 전쟁, 중앙은행 통화 가치 하락, 지정학적 불확실성).


한국금거래소 순금 12지 골드바 37.5g [24K]

12간지를 형상화한 24K 순금 골드바 10돈 수집용·선물용으로 인기 높은 제품입니다.

🔗 가격 및 제품 자세히 보기

국제 은시세


 ☑️현재 은 시세

  • 현재가: $38.09/oz
  • 고가/저가: $38.12 / $37.81
  • 50일선(SMA): $37.33 (상단 유지)
  • 200일선(SMA): $33.24 (안정적 상승 추세)
  • RSI(14): 53.9 (중립 상단)
  • 거래량: 6.9K (최근 평균 대비 [낮음], 관망세 뚜렷)

 
☑️기술적 흐름

[단기]
38달러 부근에서 강한 저항을 반복 확인 중. 단기 모멘텀은 둔화되었으나, 37.5 지지선을 유지하면 박스권 상단 재도전 흐름이 가능.

[중기]
6월 이후 고점과 저점이 조금씩 올라가며 전형적인 상승 추세를 형성. 50일선을 지켜내는 한 중기 강세 구조는 변함없음.

[장기]
200일선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큰 흐름은 여전히 우상향. 35달러 이상에서 안착하며 장기 매집 구간을 지나 강세장 초기 국면으로 해석 가능.


전략 포인트

① 37.50 종가 유지 — [1차 20% 매수] — 체결대 37.55±0.15, 37.00 종가 이탈 시 보류.
② 38.50 돌파·안착 — [추가 20% 매수] — 되돌림 38.5±0.1 재확인 시 체결, 목표 39.5구간에서 20%만 축소.
③ 37.00 종가 이탈 — [신규 대기] — 36.50~36.00 지지 확인 후 1차 20% 매수, 36.00 추가 이탈 시 대기 유지.


🧭 결론 요약

[은 시장은 여전히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당장은 38달러 부근에서 치열한 힘겨루기가 이어지지만, 큰 그림에서는 200일선 위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장기 투자자는 단기 흔들림에 휘둘리기보다 37달러대 지지 여부를 관찰하며, 추세가 이어질 때마다 계획된 분할 전략을 지켜가는 편이 유리합니다.


최신 국제 금은 뉴스


1. 스위스 금 관세 여파, 금값 3,330~3,370 박스권 정체

지난주 스위스 금괴 관세 혼선으로 선물·현물 시장에 큰 변동이 발생했지만 정부가 순금은 대상이 아니라고 정정하며 혼란이 진정됐습니다. 이번 주 금은 3,330~3,370달러 범위에서 횡보하며 주간 1.9% 하락 마감했습니다. [원본기사링크]

2. 미국 물가·소비자 지표, 금리 인하 기대 약화

미시간 소비자심리지수는 58.6으로 하락했지만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9%로 상승했습니다. 여기에 PPI(생산자물가지수) 강세가 겹치면서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 단기적으로 금·은에 부담을 주었습니다. [원본기사링크]

3. 투자자 심리: 월가 ‘횡보’, 개인은 ‘상승 기대’

Kitco 설문에서 월가 전문가의 80%가 금값의 단기 박스권 유지를 예상한 반면, 개인 투자자(Main Street)의 63%는 상승을 기대했습니다. ETF 보유량은 2년 만의 최고치로 늘며 장기 강세 기대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원본기사링크]

4. 은, 인도 시장에서 금보다 강세

인도 아메다바드 시장에서 은은 올해 34.6% 상승하며 금(30.4%)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산업 수요와 투자자 선호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은이 금보다 더 빠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원본기사링크]


🔗 문의 및 참여 안내

💬 오픈채팅방 입장하기
👉 https://open.kakao.com/o/g4mbElwh

📩 1:1 문의하기
👉 https://open.kakao.com/o/sc3b6cw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