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8.11] 금·은 시세, 안정 속 미세한 조정

국제 금 시세는 스위스산 금괴 관세 해제 소식 이후 단기 변동을 보였으나, 현물 시장에서는 충격이 제한적이었습니다. 금값은 사상 최고치 부근에서 숨 고르기 양상을 보이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제 은 시세는 공급 부족이 이어지는 가운데 40달러 이하 구간에서 매수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오늘의 금은시세

"2025년 8월 11일 오늘의 금시세 표. 순금(1돈) 시세: 내가 살 때 569,500원, 내가 팔 때 553,000원. 18K(1돈) 시세: 팔 때 405,000원. 14K(1돈) 시세: 팔 때 314,000원. 은 시세(1kg 실버바, 999 기준): 내가 살 때 1,940,000원, 내가 팔 때 1,790,000원."


국내 금 시세
• 주말 동안 스위스산 금괴 관세 해제 소식이 전해지면서, 오늘 오전장은 소폭 하락으로 출발했습니다.[저녁에 런던, 뉴욕장 개장]
• 현물 금 시세는 큰 충격 없이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 금값은 여전히 국제 시세보다 1만원가량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은 시세
• 공급 부족 상황은 계속되지만, 당장 구하기 어려울 정도는 아닙니다.
• 실물 은 시장은 매수세가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매도 물량은 거의 나오지 않는 모습입니다.


[국내 금시세 등락률]

"2025년 7월 23일부터 8월 11일까지 금 1돈 종가 기준 가격과 등락률 표. 예: 7월 23일 571,000원(0.18%), 7월 24일 566,000원(-0.88%), 8월 8일 572,000원(0.18%), 8월 11일 569,500원(-0.44%) 등."


국제 금시세


 ☑️현재 금 시세 요약

  • 현재가: 3,373.625
  • 고가/저가: 3,401.395 / 3,367.550
  • 50일선: 3,350.046
  • 200일선: 3,292.608
  • RSI(14): 53.13
  • 거래량: 64.59K


 ☑️기술적 흐름

[단기]
50일선(3,350) 위에서 유지되고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고점 부근(3,400)에서 매물 부담이 커져 상방 돌파 시도와 조정 압력이 혼재된 구간입니다.

[중기]
200일선(3,292)과 50일선 간 이격이 유지되며 중기 상승 추세는 유효하나, 3,400~3,420 구간의 강한 저항대가 돌파 관건입니다.

[장기]
장기 이동평균선은 완만한 상승 흐름을 지속 중이며, 대세 상승 국면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대규모 거래량이 발생한 만큼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전략 포인트

① 3,350 지지선 유지 시 단기 반등 매수 가능 → 지지선 이탈 전까지 분할 매수 전략
② 3,400 돌파 후 안착 시 추가 상승 탄력 기대 → 단기 목표 3,420~3,450 구간 설정
③ 3,350 하락 이탈 시 조정 심화 가능성 확대 → 3,300 부근까지 하락 여지 대비


☑️결론

💡 현재 금 시세는 50일선 위 지지와 저항선 돌파 시도가 맞물린 전환 구간입니다. 단기 변동성에 전혀 흔들리지 않고, 주요 지지·저항 구간을 활용한 단계적 대응이 유효합니다. 장기보유자는 흔들림없이 홀딩 하시기 바랍니다.


[ 금 중장기 전망 ]


한국금거래소 순금 12지 골드바 37.5g [24K]

12간지를 형상화한 24K 순금 골드바 10돈 수집용·선물용으로 인기 높은 제품입니다.

🔗 가격 및 제품 자세히 보기


국제 은시세


 ☑️현재 은 시세

  • 현재가: 38.22760
  • 고가/저가: 38.35700 / 38.02910
  • 50일선: 37.08277
  • 200일선: 34.91381
  • RSI(14): 57.04
  • 거래량: 7.68K

 
☑️기술적 흐름

[단기]
50일선(37.08) 위에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38.5달러 부근에서 매물 부담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38~38.5 구간을 돌파하는지가 관건입니다.

[중기]
200일선(34.91)과 50일선 간 이격이 확대되며 중기 상승 흐름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40달러 부근에서의 강한 저항이 재차 확인된 상태라 재돌파 시 모멘텀이 필요합니다.

[장기]
장기적으로는 상승 추세선이 완만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대세 상승 국면은 유효합니다. 거래량 증가가 동반되면 40달러 재도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략 포인트

  • 현재 37.5~37.0달러 구간이 중요한 지지선입니다. 이 구간이 유지된다면 단기 매수 관점이 유효하며, 38.5달러 돌파 전까지는 분할 매수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 38.5달러를 돌파하고 그 위에서 안착한다면 40달러 재도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경우 단기 목표는 39.8~40.0달러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37.0달러를 하향 이탈한다면 조정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35.5~36.0달러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에 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결론 요약

💡 은 시세는 50일선 지지를 기반으로 반등 중이나, 38.5달러 돌파 여부가 향후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입니다. 무리한 추격보다는 지지·저항 구간에서 단계적 대응이 바람직합니다. 실물 은은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시세와 별개로 확보 가능한 시점에 미리 매입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위 제품은 ‘한국금거래소 실버바’로,
세금 증빙용 자료가 필요할 때 제가 직접 구입하는 제품입니다.
한 두개구입 원하시는 분들은 부가세 자료도 끊고 괜찮습니다.
가격대도 시중 가격보다 저렴하게 잘 나왔습니다. 대량 구매는 비추!

👉 오늘 실버바 최저가 확인하기


최신 국제 금은 뉴스

1. 백악관, 골드바 관세 보도 ‘허위’ 공식 해명

미국 CBP가 스위스산 1kg·100oz 금괴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보도가 확산됐으나, 백악관은 이를 ‘허위 정보’라고 일축했습니다. 관세 혼란으로 금값은 한때 급등했지만, 해명 이후 단기 조정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원문기사링크]

2. HSBC, 은 가격 전망 대폭 상향 조정

HSBC는 금 가격 강세와 지정학적 위험을 이유로 2025~2027년 은 평균 가격 전망을 상향했습니다. 공급 부족 지속과 달러 약세가 주요 상승 요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원문기사링크]

3. 미국-인도 관세 충격… 인도 금·은 가격 급등

미국의 대인도 고율 관세 발표로 인도 금·은 가격이 안전자산 선호 확대로 급등했습니다. 반면 원유·가스 가격은 하락, 루피화는 달러 대비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원문기사링크]


🔗 문의 및 참여 안내

💬 오픈채팅방 입장하기
👉 https://open.kakao.com/o/g4mbElwh

📩 1:1 문의하기
👉 https://open.kakao.com/o/sc3b6cw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