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7.30] 금·은 시장, 이번주는 관망세..방향은 아직 대기 중

국제 금 시세는 $3,330선에서 지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은은 $38.16 부근에서 4일 연속 방어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은 가격은 이번 주 내내 좁은 박스권에 머물며 관세 시행을 앞두고 관망세가 뚜렷한 모습입니다. 오늘 밤 열리는 FOMC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이 금·은 시장의 추세 전환을 결정지을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의 금은시세


국내 금 시세

  • 국제시세 소폭 상승, 국내 시세는 환율 하락 영향으로 미미한 하락
  • 4일 연속 지루한 장세, 관세 시행 앞두고 요지부동, 관망세

국내 은 시세

  • 관세 시행 이후 가격 변동성 확대 가능성, 불확실성 커지며 시장은 관망 분위기
  • 이번 주 들어 변동폭 매우 제한적, 1kg당 ±1만 원 내외 유지

[국내 금시세 등락률]

2025년 7월 15일부터 7월 30일까지의 국내 순금 시세(종가기준) 및 등락률● 07-15: 565,000원 (-0.18%)
● 07-16: 562,000원 (-0.53%)
● 07-17: 563,000원 (+0.18%)
● 07-18: 563,000원 (0%)
● 07-21: 568,000원 (+0.89%)
● 07-22: 570,000원 (+0.35%)
● 07-23: 571,000원 (+0.18%)
● 07-24: 566,000원 (-0.88%)
● 07-25: 566,000원 (0%)
● 07-28: 565,000원 (-0.18%)
● 07-29: 565,000원 (0%)
● 07-30: 564,000원 (-0.18%)


국제 금시세


 ☑️현재 금 시세 요약

  • 현재가: $3,330.55
  • 고가 / 저가: $3,333.77 / $3,325.97
  • 50일 이동평균선(SMA 50): $3,343.74
  • 100일 이동평균선(SMA 100): $3,264.30
  • RSI(14): 47.69 (중립 구간)
  • 거래량: 16.57K


 ☑️기술적 흐름

[단기 흐름]
50일선 아래에서 횡보하며 단기 약세 흐름. RSI는 47 수준으로 매수·매도 에너지가 모두 제한적인 상태. 거래량도 평균 이하로 축소 중이며 관망세가 우세.

[중기 흐름]
중기 상승 추세는 아직 유효. 100일선($3,264) 위에서 지지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5월 이후 박스권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한 후 재차 반등 시도.

[장기 흐름]
2023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장기 상승추세는 유지되고 있으며, 고점은 $3,500 부근에서 형성됨. 현재는 조정과정이지만 상승 채널 하단을 이탈하지 않음.

 ☑️전략 포인트

① 50일선($3,343) 회복 시도 시 → 단기 반등 가능성 열림 → 단기 매수세 유입 여부 확인 필요, 거래량 증가 동반 여부 주시.
② $3,300 붕괴 시도 발생 시 → 100일선($3,264) 테스트 가능성 → 이탈 시 중기 매물 출회 우려, 기술적 손절도 고려.
③ $3,370 돌파 시 → 단기 추세 반전 시그널로 해석 가능 → 박스권 상단 돌파 시 스윙 관점 매수 전략 검토 가능.


☑️결론

💡 현재 금 시세는 단기 조정 후 반등 시도 구간에 위치해 있으며, 박스권 하단부에서 지지 확인 중입니다.
중장기 추세는 여전히 유효하며, $3,264선이 핵심 지지선으로 작용합니다. 중장기 보유자는 눌림목에서의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며, 단기 트레이더는 50일선 회복 여부에 따라 접근 시점을 조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금 중장기 전망 ]


한국금거래소 순금 12지 골드바 37.5g [24K]

12간지를 형상화한 24K 순금 골드바 10돈 수집용·선물용으로 인기 높은 제품입니다.

🔗 가격 및 제품 자세히 보기


국제 은시세


 ☑️현재 은 시세

  • 현재가: $38.165
  • 고가 / 저가: $38.231 / $38.137
  • 50일 이동평균선(SMA 50): $36.418
  • 100일 이동평균선(SMA 100): $34.600
  • RSI(14): 57.28 (중립~과매수 경계)
  • 거래량: 2.59K (전일 대비 -18.9% 감소, 전일: 약 3.2K)

 
☑️기술적 흐름


[단기 흐름]
$39 부근에서 두 차례 저항을 받고 되돌림 흐름 진행 중. 단기적으로는 매수 피로감이 나타났으며, RSI도 65 부근 고점 돌파 실패 후 하락 전환. 거래량도 점차 축소 중.

[중기 흐름]
6월 이후 본격적인 상승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50일선 위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 중. $36.4~36.0 구간은 중기 매수 타이밍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핵심 지지대.

[장기 흐름]
장기적으로는 $30 돌파 이후 본격적인 강세 흐름으로 전환되었으며, $40대 진입을 앞두고 일시적인 조정 구간 진입. 고점 추격보다는 눌림 매수 전략이 유효한 시점.

 
전략 포인트

① $38 지지 확인 시 → 단기 매수 재진입 고려 가능 → RSI가 과매수에서 중립으로 전환되는 구간, 저점 매수 시도 유입 주의 깊게 관찰.
② $36.4 이탈 시도 발생 시 → 중기 지지선 붕괴 경계 필요 → 50일선 이탈 시 매물 출회 우려, $35 부근까지 하락 가능성 검토.
③ $39.3 돌파 시도 시 → 고점 돌파 후 $41 목표 구간 진입 → 강한 거래량 동반 시 돌파 매수 전략 가능, 상승 에너지 재점화 여부 주시.


🧭 결론 요약

💡 은 시세는 현재 상승 피로감 속에 단기 조정 구간에 있으며, 중장기 추세는 여전히 강세 흐름을 유지 중입니다.
$36.4 수준이 핵심 지지선이며, 조정 구간에서는 추격 매수보다는 눌림 대응이 유리합니다. 중기 투자자는 조정 시 분할 매수 관점, 단기 투자자는 $38선 지지와 거래량 회복 여부를 확인한 후 대응이 필요합니다.


📌 위 제품은 ‘한국금거래소 실버바’로,
세금 증빙용 자료가 필요할 때 제가 직접 구입하는 제품입니다.
한 두개구입 원하시는 분들은 부가세 자료도 끊고 괜찮습니다.
가격대도 시중 가격보다 저렴하게 잘 나왔습니다. 대량 구매는 비추!

👉 오늘 실버바 최저가 확인하기


최신 국제 금은 뉴스


1. “금이 안 떨어진다는 것 자체가 강력한 신호다” – 스테이트 스트리트

State Street의 아카시 도시(Aakash Doshi)는 최근의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에도 금값이 하락하지 않는 현상 자체가 매우 강력한 매수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중앙은행의 실물 매입과 구조적 수요가 금 시장을 받쳐주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2. 금 $4,000 / 은 $50 시대는 온다 – ‘붕괴 속 번영’ 경고

분석가 Florian Grummes는 지금 시장을 “Crack-up Boom(붕괴 속의 번영)”이라고 표현하며, 금은 각각 $4,000, $50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통화시스템 불안과 은 공급 부족이 금·은·광산주 모두를 장기 강세로 이끌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 원유 강세·채권금리 하락이 금 가격 방어에 기여

최근 국제 유가 상승과 미 10년물 금리 하락이 금 가격의 기술적 지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FOMC 회의를 앞두고 금은 강보합세를 유지하며, 단기 조정 없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는 중입니다.


🔗 문의 및 참여 안내

💬 오픈채팅방 입장하기
👉 https://open.kakao.com/o/g4mbElwh

📩 1:1 문의하기
👉 https://open.kakao.com/o/sc3b6cw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