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1온스당 금값을 국내 1돈당 적정 금 가격 계산법

금 투자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합니다. “지금 사는 금값이 적정한가?” 특히 국제 금값과 국내 금값이 어떻게 다른지, 실제로 내가 ‘비싸게’ 사고 있는 건 아닌지 궁금할 때가 많죠. 국제 금값과 국내 금값의 차이, 그리고 1트로이 온스를 1돈당 가격으로 환산하는 방법, 더 나아가 국내 적정 금값을 계산하는 실전 팁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썸네일


1. 국제 금값과 국내 금값은 왜 다를까?

실제로 100g 골드바 가격을 토대로 “국내 1돈(3.75g) 가격 비교”

  • 미국: 돈당 약 557,000원
  • 일본: 약 554,000원
  • 싱가포르: 약 475,000원
  • 국내: 약 578,000원 (부가세 포함 약 64만원)

즉, 국내 금값이 약 1~10만 원까지 더 비싸게 판매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이유는?

  • 한국은 금 생산국이 아니기 때문에 100% 수입에 의존
  • 관세, 부가세, 환율, 물류비 등 부대 비용 발생
  • 소매 유통 마진, 금 도매상 수수료 등 포함

반면, 아랍에미리트, 태국, 스위스, 싱가포르, 홍콩은 세금이 거의 없거나 낮고 유통구조가 단순해 훨씬 저렴한 금값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트로이 온스를 1돈으로 바꾸는 방법

국제 금시세는 1트로이 온스(약 31.1035g) 기준으로 발표됩니다. 반면 한국은 1돈(3.75g) 기준입니다.

1온스를 1돈으로 계산하는 법

💡 1온스 = 약 8.29돈

따라서 1온스 가격을 8.29로 나누고, 환율을 곱하면 한국 돈 기준 1돈당 금값이 계산됩니다.

예) $2,675 ÷ 8.29 × 환율(예: 1,330원) ≒ 429,000원

이 값은 ‘순수 금값’에 해당하며, 여기에 유통비용·세금·마진 등을 더하면 실거래 가격이 됩니다.


3. 실전 활용: 국내 적정 금값 계산법 (7.9 공식)

오랜 귀금속 업계의 경험으로 저만의 간단한 계산 방법을 소개 해 드리겠습니다.

국내적정시세로 계산하는 공식
  • 1온스 ÷ 7.9 × 환율 = 국내 1돈당 적정 금값
  • 여기서 ‘7.9’는 8.29에서 약 4%의 부대비용을 반영한 실전 공식입니다.

실제 매장마다 마진율은 다르지만,
이 공식을 통해 현재 국내 금값이 비싼지, 적정한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금값 흐름에 따라 구매 타이밍 조절하는 팁

  • 금값이 상승장일 경우: 오전 중 빠르게 구매
  • 금값이 하락장일 경우: 오후 늦게 구매하는 전략이 유리

이유는? 한국의 금 시세는 실시간으로 국제 시세를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변동성이 클 때는 시간 차로 인해 국제 시세보다 국내 시세가 저렴하게 책정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5. 결론 – 금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

금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가치의 자산입니다. 변동성은 존재하지만, 긴 호흡으로 보면 여전히 가장 신뢰받는 실물 자산이죠. 적정가를 계산하고 시장 흐름을 읽는 능력은 여러분의 자산을 더 안전하게 지키는 도구가 될 것입니다.

금값 계산의 핵심 요약:

항목계산법
온스를 돈으로 환산1온스 ÷ 8.29 = 1돈
적정 가격 계산 공식1온스 ÷ 7.9 × 환율

여러분의 투자에 지혜로운 인사이트가 되기를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