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과 은의 가격은 전 세계 투자자와 산업에서 가장 주목받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국제 금·은 시세는 누가 정하는가?”라는 질문을 많이 하시죠. 사실 금과 은의 가격은 현물 시장, 선물 시장, ETF 시장 이라는 3대 축에서 결정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시장의 정의와 거래 시간, 그리고 아시아·런던·뉴욕 세션의 흐름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현물(Spot) 시장
뜻: 지금 시점에서 금과 은을 즉시 사고파는 국제 장외(OTC) 거래. 우리가 보통 거래하는 실시간 차트시세입니다.
특징: 국제 은행, 브로커 네트워크를 통해 호가가 실시간으로 주고받아지며, 가장 기본적인 금·은 시세가 만들어짐.
거래 시간:
- 월요일 아침(한국시간 약 7시) ~ 금요일 새벽(뉴욕 마감, 한국시간 약 6시)
- 주중에는 24시간 거래 가능, 단 토·일 주말은 휴장
- 장내 마감은 없지만, 세션별로 거래량 차이가 존재
현물 차트는 OTC(장외 시장) 네트워크로 운영되기 때문에,
- 월요일 오전 아시아 개장 ~ 금요일 새벽 뉴욕 마감까지 사실상 끊김 없이 24시간 거래됩니다.
단, 세션 공백 시간대(아시아 ↔ 런던, 런던 ↔ 뉴욕)에는
- 거래가 아예 멈추는 것은 아니지만,
- 거래량이 줄고 호가 빈도도 낮아져
- 시세 변동이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트레이딩뷰에서 차트 검색하는 법
- 웹사이트 접속: https://www.tradingview.com
- Gold Spot (현물 금)
→ 검색창(돋보기)에 XAUUSD 입력 후 차트 확인 가능 - Silver Spot (현물 은)
→ 검색창(돋보기)에 XAGUSD 입력 후 차트 확인 가능
2. 선물(Futures) 시장
뜻: 미래 일정 시점에 금과 은을 인도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을 거래소에서 사고파는 시장.
대표 시장: 뉴욕 COMEX (CME 그룹 산하)
특징:
- 거래량이 방대해 현물 가격에도 큰 영향
- 실제 인도보다 차익거래 목적이 대부분
거래 시간 (한국시간 기준):
- 월요일 오전 7시 ~ 토요일 새벽 6시 (전자거래 GLOBEX 기준)
- 매일 새벽 6시 ~ 7시: 시스템 점검으로 1시간 휴식
- 주말(토·일): 휴장
📌 트레이딩뷰에서 선물 차트 검색하는 법
- 웹사이트 접속: https://www.tradingview.com
- Gold Futures (금 선물)
→ 검색창에 GC1! 입력 후 차트 확인 가능 - Silver Futures (은 선물)
→ 검색창에 SI1! 입력 후 차트 확인 가능
3. ETF 및 파생상품 시장
우리나라 KRX 금현물과 동일한 개념의 미국 금/은 현물 ETF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물기반 ETF라 인도 요청이 가능합니다. 이번에 사우디에서 구매한 은ETF가 이 SLV입니다.
나중 실물 은을 양도 받기 위한 투자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의 현물, 선물 금은차트는 말 그래도 차트상 가격이며 이 ETF는 실물 금은을 기반으로 하되 거래소에 보관하는 개념의 ETF입니다.
📌 금·은 현물 ETF 비교표
구분 | GLD (SPDR Gold Trust) | SLV (iShares Silver Trust) |
---|---|---|
기초자산 | 금 현물 (실제 금괴) | 은 현물 (실제 은괴) |
구조 | 금 현물을 매입·보관하는 신탁 구조 | 은 현물을 매입·보관하는 신탁 구조 |
보관처 | HSBC 금고 등 지정 보관소 | 지정 은 보관소 |
투자 방식 | 투자자가 GLD 매수 → 동일 가치의 금을 매입·보관 | 투자자가 SLV 매수 → 동일 가치의 은을 매입·보관 |
추종 대상 | 현물 금 가격 (Spot Gold, XAU/USD) | 현물 은 가격 (Spot Silver, XAG/USD) |
뜻: GLD, SLV 같은 ETF는 현물 및 선물 가격을 추종하며, 투자자가 매수하면 실제 금·은도 함께 매입·보관됨.
특징:
- 유동성을 강화하고, 개인·기관이 손쉽게 금·은에 투자할 수 있게 해줌
- ETF 수요 증가는 곧 실물 수요로 이어져 가격에 영향을 줌
거래 시간: 미국 주식시장 시간에 맞춰 거래
한국시간 저녁 10:30 ~ 새벽 5:00 (뉴욕 증권시장 개장 시간과 동일)
미국 공휴일에는 ETF도 휴장
4. 아시아·런던·뉴욕 세션별 거래 특징 (현물 중심)
세션 | 한국시간(KST) | 특징 |
---|---|---|
아시아장 | 오전 7시 ~ 오후 3시 | 도쿄·홍콩·상하이 중심, 상대적으로 거래량 작음 |
런던장 | 오후 4시 ~ 자정 12시 | 세계 최대 현물 시장, 거래량 급증, 변동성 확대 |
뉴욕장 | 오후 10시 30분 ~ 새벽 5시 | COMEX 선물과 연계, 가장 활발하고 큰 변동성 발생 |
주말 | 토요일 새벽 ~ 월요일 아침 | 현물·선물 모두 휴장, 시세 고정 |
결론
국제 금·은 시세는 어느 한 기관이 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바로 현물 시장, 선물 시장, ETF 시장이라는 세 가지 축이 서로 맞물리며 가격이 형성됩니다.
- 현물 시장(Spot)은 가장 기본적인 국제 금·은 시세를 만들고,
- 선물 시장(Futures)은 미래 기대와 투기적 자금을 반영하며,
- ETF 시장(GLD, SLV 등)은 개인과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수요를 유동성으로 연결합니다.
이 세 가지 시장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국제 금·은 가격을 결정하기 때문에,
투자자는 단순히 차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한지, 어떤 자금이 움직이고 있는지를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
👉 결국, 국제 금·은 시세는 “현물의 기초, 선물의 기대, ETF의 유동성” 이 세 가지 축 위에서 책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초보자를 위한 금 현물 차트 보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