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은 금·은 시장에서 매수·매도 세력의 힘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지표입니다. 단순한 가격 움직임보다 중요한 건, 그 가격이 얼마나 강한 ‘의지’로 만들어졌는지를 아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거래량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차트 해석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거래량 분석 완전 해설: 실전에서 어떻게 쓰는가?
금이나 은 가격이 움직이는 걸 보면 누구나 궁금해합니다.
“지금 이 상승, 믿을 만한가?”
이럴 때 거래량은 가격 움직임의 ‘진짜 강도’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거래량이란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매매 체결 수를 의미합니다.
즉,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사고팔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죠.
모든 차트에서 거래량이 폭발하면 이 상승은 진짜 상승!! 신뢰할 수 있는 상승입니다.
즉, 거래량 = 신뢰도 [믿을 수 있다]
거래량 해석의 기본 원리
가격 | 거래량 | 의미 |
---|---|---|
상승 | 증가 | 강한 매수세 → 상승 지속 가능성 ↑ |
하락 | 증가 | 강한 매도세 → 하락 지속 가능성 ↑ |
상승 | 감소 | 매수세 약화 → 상승 피로, 조정 가능성 |
하락 | 감소 | 매도세 약화 → 바닥 다지기 가능성 |
핵심은 단순히 가격이 올랐는지가 아니라,
그 가격이 거래량을 동반했는가를 함께 보는 것입니다.
실전 예시: 거래량으로 해석한 은 가격 흐름 (25.07.22)

📌 차트 요약
- 차트 구간: 2025년 2월 ~ 7월
- 현재가: $38.77
- 20일 거래량 평균선(파란색): 약 30.6K
- 최근 거래량: 평균 부근 유지
- 이동평균선(60일): $35.18 수준
✅ 핵심 포인트 해석
① 6월 중순 ~ 7월 초
- 은 가격이 $35대에서 반등 시작 → $38 이상까지 상승
- 이 시점에서 거래량이 뚜렷하게 증가
- 특히 7월 초 2일 연속 거래량 급증 + 양봉 연속 출현
👉 강한 신규 매수세 유입으로 해석 가능
→ 단순 기술적 반등이 아닌 실질적인 추세 전환의 시작으로 볼 수 있음
② 7월 중순 ~ 현재(7월 22일)
- 은 가격이 $38 부근에서 고점 부근 정체
- 하지만 거래량은 급감하지 않고 평균 이상 수준 유지
👉 세력 이탈 없음, 포지션 유지 가능성
→ 현재 구간은 단기 조정 또는 횡보 구간,
→ 거래량 급감 없이 가격 유지 중이라면 상승 추세 지속 가능성 유효
“강한 거래량을 동반한 상승 이후, 평균 이상 거래량이 유지되는 구간은 추세가 이어질 수 있는 구간이다.”
📌 실전 대응 팁
구간 | 가격 흐름 | 거래량 흐름 | 해석 |
---|---|---|---|
6월 중순 ~ 7월 초 | 상승 | 거래량 급증 | 신규 매수세 유입, 상승 신뢰도 ↑ |
7월 중순 ~ 7월 22일 | 고점 부근 횡보 | 평균 이상 유지 | 세력 유지 구간, 추가 상승 가능성 |
거래량을 해석할 때 꼭 체크해야 할 포인트
1. 전일 대비 거래량 변화율
→ 전일보다 20% 이상 증가했다면 강한 수급 변화 가능성 있음
2. 지지선·저항선 돌파 시 거래량
→ 돌파 구간에서 거래량이 동반되면 진짜 돌파, 없으면 속임수일 가능성
3. 횡보 중 거래량 급증
→ 세력 매집 or 이탈의 신호
→ 이후 큰 방향성 움직임의 전조일 수 있음
💬 초보 투자자에게 꼭 하고 싶은 말
거래량은 단순한 숫자 그 이상입니다.
시장의 의지를 보여주는 힌트이자, 가격 흐름의 진짜 원인입니다.
📌 가격만 보지 마세요. 거래량이 없다면 그 가격은 금방 꺾일 수 있습니다.
📌 거래량이 강하게 들어오는 시점은 진짜 매매 타이밍이 될 수 있습니다.
✅ 결론 요약
- 거래량은 수급의 강도를 보여주는 가장 직관적인 지표
- 가격과 함께 반드시 확인해야 신뢰도 높은 분석 가능
- 돌파, 반등, 급락 구간에서는 반드시 거래량을 함께 체크해야 함
📎 함께 보면 좋은 글
👉 오픈이자 완벽 해설: 단기 수급과 방향성 읽는 법
👉 COT 리포트 해부: 지금 기관은 금·은을 사고 있을까?